약사의 과학, 재테크, 그리고 일상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약사의 과학, 재테크, 그리고 일상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Diary
      • 물건비우기
    • 일상을 풍부하게
      • 책리뷰
      • 일상리뷰
    • Travel
    • Medicine & Science
      • Article Review
      • New Drug

검색 레이어

약사의 과학, 재테크, 그리고 일상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Medicine & Science

  • [논문] 아토피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 보습이 중요하다

    2020.03.21 by 약먹은찐계란

  • [보고서] 미국에서 코로나 사망의 20%는 젊은 사람이었다

    2020.03.20 by 약먹은찐계란

  • [논문] 장내세균총이 심혈관질환과 연관이 있다

    2020.03.18 by 약먹은찐계란

  • [논문] 코로나 증상이 어린이와 성인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2020.03.17 by 약먹은찐계란

  • [논문]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으려면 화장실에서도 마스크를 써라

    2020.03.15 by 약먹은찐계란

  • [기사] 대마 알러지 증가

    2020.03.12 by 약먹은찐계란

  • [논문] 화장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

    2020.03.12 by 약먹은찐계란

  • [논문] 다이어트 보조제는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2020.03.08 by 약먹은찐계란

[논문] 아토피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 보습이 중요하다

원문: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7139?nlid=134573_5404&src=wnl_dne_200320_mscpedit&uac=360047ER&impID=2317976&faf=1 이 기사는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AAAAI) 2020 Meeting에 대한 Medscape의 기사이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직역보다는 의역과 첨언으로 구성했다. 요약: 아토피 환자에서 정상 세포도 염증 반응이 나타나있다. 따라서 아토피가 나타나기 전에 미리 정상 세포로 어떤 알러지를 나타낼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과잉 진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과도한 음식 제한은 오히려 알러지를 만들어 낼 수 ..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21. 19:11

[보고서] 미국에서 코로나 사망의 20%는 젊은 사람이었다

원문 기사: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7196 보고서: https://www.cdc.gov/mmwr/volumes/69/wr/mm6912e2.htm COVID-19으로 진단된 미국의 4천명의 환자들을 확인한 결과, 20-64세의 환자들이 사망률의 20%를 차지했고, 20-44세의 환자들이 입원 환자의 20%를 차지했다. 노인들이 더욱 COVID-19 감염에 취약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유의한 수의 젊은 환자들이 입원, 더 나아가 사망까지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인 환자들이 더 취약할 것이나는 예상은 적어도 미국 내에서 한정하더라도 젊은 사람들에게서 입원과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COVID-19 환자들의 입원과 ICU (중환자..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20. 16:00

[논문] 장내세균총이 심혈관질환과 연관이 있다

기사: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6840?nlid=134531_5404&src=wnl_dne_200317_mscpedit&uac=360047ER&impID=2314090&faf=1 논문: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0)30160-4 논문에는 영상 파일도 있으니,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요약: 식물성, 동물성 단백질에 많은 페닐알라닌이 과도하게 되면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 페닐알라닌이 대장으로 가게 된다. 대장의 장내 세균이 이를 대사하게 된다. 이 대사체는 간으로 가서 PAG라는 물질로 바뀌는데, 이 물질이 혈전 생성을 촉진시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베타 차단제는 이를 역전시킬 수 있다. 의견..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18. 16:43

[논문] 코로나 증상이 어린이와 성인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원문: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6805?nlid=134493_5404&src=wnl_dne_200316_mscpedit&uac=360047ER&impID=2312710&faf=1 이전 글 2020/03/15 - [일상을 풍부하게/기사번역] - [논문]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으려면 화장실에서도 마스크를 써라 2020/03/12 - [일상을 풍부하게/기사번역] - [논문] 화장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 요약: 소아 환자에서는 증상이 경미하고 다른 폐렴과의 감별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흉부 CT 촬영을 통해 감별진단을 해야한다. 또한 다른 병원균으로 인한 동시감염도 많았다. 따라서 다른 병원균 검사에서 양성이라고 해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라고는 ..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17. 20:44

[논문]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으려면 화장실에서도 마스크를 써라

원문: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6682?nlid=134463_5404&src=wnl_dne_200313_mscpedit&uac=360047ER&impID=2309850&faf=1 이전 관련 글 2020/03/12 - [일상을 풍부하게/기사번역] - [논문] 화장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 소화기병학(Gastroenterology)에 게재된 두 논문에 따르면, 대변 대 구강 전염(fecal-oral transmission)이 COVID-19의 임상양상(clinical picture)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SARS-CoV-2 (COVID-19)의 RNA와 단백질이 감염 초기부터 호흡기 증상이 약해지고 나서까지도 대변에 나타난다고 밝혔다...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15. 22:57

[기사] 대마 알러지 증가

본 기사는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AAAAI) 2020 Meeting 에서 나온 내용이다. the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in Aurora의 William Silvers 교수에 따르면 "Cannabis sativa는 대마로 다른 꽃가루 알러지 (pollen allergy)와 마찬가지로 면역 반응이 나타난다." 고 한다. Silver의 병원에서 콜로라도 주에서 마리화나의 유흥 사용 합법화 (legalization of recreational marijuana)로 인해 직접 노출이 많아져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알러지 경향 (allergic tendency)를..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12. 22:03

[논문] 화장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

코로나19로 격리된 환자의 집에서 변기, 세면대, 화장실 손잡이에 대해서 바이러스 양성여부를 테스트 했는데, 이번 결과로 인하여 전염의 또다른 경로로 대변으로 배출되는 바이러스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환기구 팬과 화장실의 다른 부분들도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으로 나타났고, 대기실 (anteroom)이나 복도 (corridor)와 의료 제공자(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의 개인 방역복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두 가지를 함께 보았을 때, 호흡기 비말과 대변 대 구강경로(fecal-oral route)를 통한 전염이 유의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주변 환경 위생과 손 위생을 강력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뉴욕 Mount Sinai..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12. 18:55

[논문] 다이어트 보조제는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원문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6081?nlid=134322_5404&src=wnl_dne_200303_mscpedit&uac=360047ER&impID=2298426&faf=1#vp_1 새로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약초 보충제는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밝혀졌다. 약 20년간 약초 체중감소 보충제에 대한 첫 글로벌 리뷰에서 체중감소 목적으로 이러한 "약물"들을 추천할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연구자들은 결론내렸다. 연구자 Erica Bessel (MND, and senior author Nicholas R. Fuller, PhD, both from the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는 본 지에 이메일을 통해 다음과 같..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2020. 3. 8. 10: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약사의 건강식품
약사의 과학, 재테크, 그리고 일상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