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논문] 코로나 증상이 어린이와 성인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Medicine & Science/Article Review

by 약먹은찐계란 2020. 3. 17. 20:44

본문

원문: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26805?nlid=134493_5404&src=wnl_dne_200316_mscpedit&uac=360047ER&impID=2312710&faf=1

 

이전 글

2020/03/15 - [일상을 풍부하게/기사번역] - [논문]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으려면 화장실에서도 마스크를 써라

2020/03/12 - [일상을 풍부하게/기사번역] - [논문] 화장실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

 

요약: 소아 환자에서는 증상이 경미하고 다른 폐렴과의 감별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흉부 CT 촬영을 통해 감별진단을 해야한다. 또한 다른 병원균으로 인한 동시감염도 많았다. 따라서 다른 병원균 검사에서 양성이라고 해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라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중국 우한에서 소아 환자의 임상적 특징, lab test와 흉부 CT의 분석을 통해 어린이들의 COVID-19 감염 증상은 전형적으로는 경미하지만 다른 감염이 같이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Pediatric Pulmonology에 Wei Xia 교수가 보고한 바에 따르면, COVID-19 감염이 의심되는 어린이 환자를 위해서는 항원 검사 뿐만이 아니라 초기 흉부 CT가 필요하다고 했다. 

인두면봉(pharyngeal swab)으로 COVID-19으로 확진받은 20명의 어린이 (2020년 1월 23일~ 2월 8일)의 가장 흔한 증상은 열(60%)과 기침(65%)이었다. 동시감염(Coinfection)은 8명(40%)에게서 나타났다.

 

인두면봉 / 동시감염

임상양상(Clinical manifestations)은 성인과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인 증상은 비교적 경미했고 전체적인 경과도 좋았다. 7명(35%)은 선천성 질환이나 후천성 질환을 진단받은 적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기저질환이 있는 어린이가 더 걸리기 쉽다고 이야기한다.

 

검사 결과에서도 어린이와 성인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어린이에서는 80%에서 procalcitonin (PCT) 증가가 있었다. PCT는 세균성 감염의 지표이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어린이 환자에서는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를 제안할 수 있다.

영상 결과에서는 어린이와 성인은 유사했다. 전형적인 양상은 한쪽이나 양쪽 간유리음영(subpleural ground-glass opacities)과 응고(consolidation, 공기 대신 액체로 차있는 폐 조직 부분)이 달무리징후(halo sign)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달무리징후를 동반한 응고는 어린이 환자의 절반 정도 나타났고 "어린이 환자의 전형적 징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발병지인 우한에서 어린이의 초창기 COVID-19 감염은 "비교적 희귀"했다.

 

"어린이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도 감염이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 환자의 뒤늦은 등장은 혼란스럽다. 인두면봉으로 진행한 COVID-19 검사는 낮은 진단률을 보이고 있다. 다른 흔한 기도 감염 항원과 구분하지만 아직 문제가 있다."

 

좀더 임상적 특징과 영상 특징을 분류하기 위하여 환자들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으며, 나이는 생후 1달 이전부터 14세(우리나라 나이로는 약 16세)까지 다양했다. 평균 나이는 2년 1.5개월이었다. 13명은 COVID-19 확진자인 가족 구성원과 밀접 접촉이 확인 되었고, 모두 격리 병동에서 완치되었다. 18명의 어린이는 평균 13일 후에 완치되어 퇴원하였고, 2명의 신생아는 CT 상에는 음성으로 나왔지만 면봉 검사에서는 양성으로 나왔기 때문에 관찰 하에 두기로 했다. 

연구자들은 신생아의 이러한 다른 양상이 샘플링 운반 시에 발생한 문제일 수도 있으나 신생아의 특이 CT 양상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언급하며 추가적인 임상을 통해서 확인해야한다고 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CT 영상이 다른 바이러스성 폐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와 구분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세균성 폐렴 (bacterial pneumoniwa),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mycoplasma pneumonia, MPP), 클라미디아 폐렴 (chlamydia pneumonia)와도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병원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렴 병변의 밀도가 비교적 높다.

하지만 폐렴 CT 양상들은 겹치는 부분이 있으며, COVID-19 폐렴은 심각하고 복잡한 영상 양상이 적재될 수 있으므로 역학 조사와 병인 조사(etiological examinations)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연구자들은 어린이의 COVID-19 폐렴은 일반적으로 경미하기 때문에 흉부 CT 촬영을 통한 간유리음영(subpleural ground-glass opacities)과 달무리징후를 동반한 응고라는 특징적인 변화는 f/u을 할 때와 폐 병변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COVID-19 검사가 양성으로 나오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소아환자의 초기 발견과 치료를 위하여 CT 촬영을 통한 병변을 초기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다른 병원균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단독 CT 촬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초기의 흉부 CT 스크리능과 병원균 검사를 포함한 시의적절한 f/u이 어린이를 위한 적절한 임상적 프로토콜일 것이다.

 

 

An Early Study 초기 연구

이 논문은 앞선 연구와는 다른 연구이다. Weiyong Liu 교수가 진행한 이번 연구는 우한에서 2020년 1월 7-15일 사이에 기도 감염으로 인해 입원한 16세 이하의 366명의 환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장 흔하게 발견된 병원균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6.3%)였고 그 다음은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5.5%) 였다. COVID-19는 1.6%를 차지했다.

COVID-19 환자의 평균 나이는 3세 (1-7세)였는데, 모두 완전히 건강한 상태였다. 이는 이전에 소개한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징은 6명 모두에서 고열과 기침이 나타났으며, 구토 증상이 4명의 환자에게서 나타났다. 5명은 X-ray를 통하여 폐렴으로 진단 받았으며 CT 결과는 전형적인 바이러스성 폐렴 패턴을 보였다. 

한 환자가 소아 중환자실(pediatric ICU)에 입원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지지 요법을 받았으며 평균적으로 7.5 입원일(5-13일)만에 회복되었다.

이전 결과와는 다르게 어린이 환자에게서 중등도~중증으로 나타났는데 이번 유행 초기에 감염된 환자들이었다.

Some Perspective 몇 가지 관점들

 

보스턴대의 소아과, 역학 Stephen 교수는 첫번째 임상에 대해서 몇 가지 중요점을 이야기했다.

40%의 케이스에서 열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해야한다고 했다. 고열과 기침, 숨가쁨이 나타나야 현재 보건소에서 검사를 하기 때문에 COVID-19에서 열이 항상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1세 미만의 어린이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기록했다는 것도 중요하다. 인플루엔자 A 혹은 B, 혹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와 함께 나타났다는 동시감염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다른 진단 시험에서 다른 바이러스 양성으로 나왔다고 해서 COVID-19가 없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80%의 감염 케이스에서 PCT 수치가 올라가 있다는 것은 COVID-19 감염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고 세균의 동시감염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하지만 연구들에서 어떠한 아이들도 세균 감염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PCT 수치를 COVID-19 감염 주의 표지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SOURCES: Xia W et al. Ped Pulmonol. 2020 Mar 5. doi: 10.1002/ppul.24718; Liu W et al. N Engl J Med. 2020 Mar 12. doi: 10.1056/NEJMc2003717.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